Transaction Analyzer
Transaction Analyzer는 처리된 트랜잭션을 응답시간 분포도를 형태로 시각화 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부하량 및 응답시간을 직관적으로 파악할수 있다.
응답시간에서 가장 오래 소요된 구간에 대하여 분포도상에 색깔로 표현되기 때문에 서비스 병목 구간을 즉시 파악할 수 있다.
또한 트랜잭션을 드레그 하여 트레이스 정보를 통하여 메소드 및 SQL 레벨의 응답시간도 확인이 가능하다.
※ 데시보드에서 그래프의 가로(시간)축에 대하여 15분, 30분 등으로 변경하더라도 Transaction Analyzer는 최근 5분간만 준다.
□ | 화면 |
□ | Filter 항목 |
v Type
Box, Circle를 선택할수 있으며 default는 Box이다. 트랜잭션을 Bar 형태로 보여줄지 Circle 형태로 보여줄지를 설정한다.
v IP
보여질 IP를 설정한다. "*"로 설정하면 Filter가 해제되며 "192.168*" 형태의 Prefix와 "192.168.0.100"의 Full IP를 설정할수 있다.
v URL
보여질 URL을 설정한다. "*"로 설정하면 Filter가 해제되며 "/jsp/index*" 형태의 Prefix로 설정할수 있다.
v Service
All : Success 및 Fail된 서비스를 모두 보여준다.
Success : Success 된 서비스를 보여준다.
Fail : Fail된 서비스를 보여준다.
* Fail된 트랜잭션이란?
요청된 트랜잭션의 시작과 종료점인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" 클래스의 service 메소드에서 Exception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.
이는 Exception이 catch되지 않고 service 메소드까지 throw 될때 발생한다. 이 경우 사용자 하면에 Exception 오류가 표시된다.
v Y-Range(ms)
지정된 응답시간에 포함되는 구간에 대한 트랜잭션만 보여준다.
v Y-Fixed(ms)
응답시간 편차가 클경우 지정된 값으로 Y축(응답시간 축)을 고정하여 분포도를 볼수 있는 기능이다.
v Reset/Set 버튼
Reset은 초기치로 설정을 변경한다.
Filter 조건을 변경하면 Set 버튼이 빨간 글씨로 변경되는데 이때는 Set 버튼을 클릭해야 적용된다.